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73

정월 대보름 음식 및 지역 행사 정월 대보름 한 해의 첫 보름이자 보름달이 뜨는 날로 음력 1월15일을 정월 대보름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명절마다 먹는 대표 음식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정월 대보름 음식에는 어떤 음식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오곡밥 찹쌀, 차조와기장, 찰수수, 팥, 검은콩 등 다섯 가지 곡식을 넣어 지은 밥입니다. 1. 찹쌀 :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면역력이 향상되며 소화 잘 됩니다. 2. 차조와 기장 : 식이섬유와 비타민이 풍부합니다. 3. 팥 : 식이섬유, 칼륨, 엽산, 마그네슘, 비타민 B군 등 다양한 성분이 풍부합니다. 4. 콩 : 성인병 예방, 노화방지, 비타민E, 칼슘이 풍부합니다. 5. 수수 : 방관염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나물 : 각 지역마다 다르지만 9.. 2023. 1. 27.
겨울철 동파 예방법 겨울철 동파 예방법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서 추운 겨울 동파사고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겨울은 추워야하고 여름은 더워야 한다지만, 4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좋은 나라지만, 이 겨울 많이 춥네요. 추운겨울 아침에 일어났는데 물이 나오지 않거나, 온수가 나오지 않을때 정말 난감하고 당황스러운데요. 오늘은 동파사고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휴 마지막 날인 어제 그리고 오늘 -17,18℃로 무척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5℃ 미만의 날씨가 지속되면 동파 확률이 높아지고 , -15℃미만 2일 이상 지속되면 동파 확률이 높아지면서 심각한 단계입니다. ◆ 동파 예방법 1. 수도꼭지를 약하게 틀어 수돗물이 졸졸 흘려줍니다. 한파예보가 있을 경우 늦은 밤이나 새벽 온수를 살짝 틀어 놓으면 동파예방을.. 2023. 1. 25.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뀝니다. 2023년 1월부터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으로 표시됩니다. 1년간 계도기한이 부여되어 2023년도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 표시되는 제품들이 판매됨으로 제품 구매 시 표시된 날짜와 보관방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유통기한에서 소비기한으로 바뀌면서 국제 기준에 맞는 식품 제도로 도약이 가능해졌다고 합니다. OECD 대부분의 국가도 소비기한 표시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국제식품규격위원회도 소비기한 표시를 권하고 있습니다. ◆ 유통기한 : 판매가능 기한을 알려주는 영업자 중심의 제도입니다. 해당제품을 제조한 기업의 입장에서 품질의 유지될 것이라 예상되는 기간의 60~70%를 표시해 유통과정에서 변질되는 것을 막고자 도입한 제도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5년 시행되었으며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은 판매가 금지.. 2023. 1. 23.
설 명절 음식 및 놀이 설 명절 음식 2023년 설날은 1월22일입니다. 설날에 먹는 음식하면 떠오르는 몇가지 음식들이 있는데요. 오늘은 설날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떡국 떡국을 먹는 이유는 가래떡이 희고 길어서 오래 산다는 의미로 먹는다고 합니다. 떡국을 먹으면 한 살 늘어나는 거 아시죠 ㅎ 제가 어렸을 때는 집에서 쌀을 담가 놨다가 방앗간에 가서 직접 가래떡을 뽑아와 직접 떡을 썰곤했는데 그 또한 추억으로 남네요. ◆ 잡채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기도 하지만 명절이나 생일 등 가족 행사에 빠지지 않은 음식 중 하나입니다. 쫄깃한 당면과 고기, 버섯, 색감이 다양한 야채들로 맛과 눈을 즐겁게 하는 제가 정말 좋아하는 음식입니다. ◆ 갈비찜 설날에 빠질 수 없는 고기 음식 중 갈비찜은 맛있는 양념과 밤,버섯,대추,은행,.. 2023. 1. 22.
728x90